카테고리 없음

네트워크 개론

chaenii 2022. 8. 29. 22:52

LAN과 WAN

  • LAN   : 사무실이나 빌딩 안 등 비교적 좁은 범위의 네트워크
  • WAN : 거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LAN끼리를 전용선  등으로 연결한 네트워크

네트워크란 정보가 흘러가는 경로를 말한다. 컴퓨터의 경우 파일 등과 같은 '전자 데이터'로 되어 있는 정보가 네트워크에 흘러 전달된다. 

 

컴퓨터에서 네트워크를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용어가 있는데 바로 LAN과 WAN이다. LAN은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사무실이나 빌딩 안과 같은 비교적 좁은 범위의 네트워크를 말한다. LAN에도 여러가지 규격이 있는데, 접속 형태에 따라 버스형, 스타형, 링형과 같은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그중에서 특히 허브를 이용한 접속 형태인 스타형 LAN이 가장 일반적이다.

 

WAN이란 와이드 영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의 약자로 거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LAN끼리를 전용선 등으로 연결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예를 들어 기업에서 지사들을 서로 연결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현재 주목 받고 있는 인터넷도 전 세계의 LAN들을 연결한 것으로 볼 수가 있으므로 넓은 의미에서 WAN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 클라이언트 :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요구하는 측의 컴퓨터
  • 서버: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의 컴퓨터

컴퓨터가 5~6대 정도인 소규모 LAN의 경우, 서버로서 전용 컴퓨터를 설치하는 일은 드물기 때문에 대부분이 Peer-to-Peer(P2P)형 네트워크로 되어 있다. Peer-to-Peer형 네트워크란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들이 파일이나 프린터와 같은 자원을 서로 공유하는 형태의 네트워크를 말한다. 각 컴퓨터는 동등한 권한을 갖고 있으며 더구나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컴퓨터를 추가하거나 반대로 네트워크에서 분리시키는 일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서버로서 전용 컴퓨터를 마련하여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방법도 있다. 이것은 클라이언트 서버형이라고 하는 네트워크 형태인데, 네트워크의 관리를 서버에서 일괄적으로 수행한다. 컴퓨터는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시점부터 서버에게 허락을 구해야 하고 서버에 있는 파일이나 프린터 등의 이용을 의뢰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받는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

  • NIC :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확장 포트
  • LAN 케이블 : 컴퓨터를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 허브 : LAN 케이블의 집선 장치로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한다.
  • 라우터 :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기기이다.

네트워크에는 물리적인 연결 방법부터 그 위를 흐르는 전기 신호의 정의, 통신 내용의 송수신 방법 등 다양한 규칙이 정해져있다. 이러한 약속에 따라 기기를 구성함으로써 컴퓨터의 종류에 의존하지 않고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로는 LAN 규격으로서 널리 보급된 Ethernet의 경우 NIC, LAN 케이블, 허브, 라우터 등의 대표적이다.

 

NIC(Network Interface Card)은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꼭 필요한 확장 보드이다. NIC에는 LAN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잭이 마련되어 있으며 컴퓨터의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이 잭으로 송출한다. 다른 곳에서 수신한 전자 신호를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하여 컴퓨터에게 전달한다. 말하자면 네트워크와 컴퓨터 사이를 이어주는 번역기와 같은 것이다. 

 

LAN 케이블은 물리적으로 컴퓨터를 연결하는 케이블로 이 케이블을 NIC에 꽂아 컴퓨터 끼리 연결함으로써 데이터를 보내기 위한 경로가 확립되는 것이다.

 

허브란 LAN 케이블의 집선 장치이다. LAN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잭을 여러 개 갖고 있으며 그 수 만큼 컴퓨터를 연결할 수 있다. 허브는 연결한 LAN 케이블들의 전기적인 중계기가 되므로 이 장치에 연결된 컴퓨터들은 정보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라우터는 다른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기로 통신 데이터가 어떤 네트워크로 보내져야 하는지를 판단하여 적절한 장소로 전송하는 분류인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LAN과 인터넷을 연결하거나 지사 간의 LAN을 연결하여 WAN을 구축하는 경우에 필요하다.


네트워크의 서비스

서비스란 서버가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말한다. 서비스에는 각 컴퓨가 자신의 자원을 공유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부터 네트워크 전체를 원활하게 관리 및 운영하기 위해 빼놓을 수 없는 것까지 다양한 서비스가 있다. 관리 및 운영을 위해 사용하는 서비스로서 대표적인 것이 DHCP나 DNS와 같은 것인데, 최근에는 가정용으로 판매되는 브로드밴드 라우터에도 이러한 기능이 탑재되어 LAN 구축을 용이하게 해주고 있다.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은 클라이언트에 대한 네트워크 설정이나 IP주소의 할당을 자동화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네트워크의 DHCP 서버에 각 클라이언트가 엑세스함으로써 자신이 사용할 IP 주소를 할당받에 네트워크에 참가할 수 있다. 이 IP 주소는 TCP/IP 네트워크에서 각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중복되지 않는 값을 할당하여 사용해야 한다.

 

DNS(Domain Name System)는 IP 주소와 컴퓨터명과의 대응을 관리하는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를 사용하여 컴퓨터명으로부터 IP 주소를 알아낼 수 있으므로 다른 컴퓨터에 대한 엑세스를 기억하기 쉬운 컴퓨터명으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인터넷 기술 

  • WWW : 인터넷 표준 문서 시스템으로 문서 사이에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 VPN : 인터넷에 가상의 전용선 공간을 만들어 데이터를 안전하게 주고받는 기술이다.
  • 전자메일 : 편지를 컴퓨터 네트워크화한 것으로 다양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WWW는 인터넷 보급의 원동력이기도 한 서비스로, 인터넷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문서 시스템이다. 문서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이라는 언어를 사용하여 기술하며, 문서 사이에 링크를 설정하거나 문서 안에 그림이나 음성, 영상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서는 URL이라는 형식으로 주소를 지정함으로써 전 세계 어디에서든 열람할 수 있다.

 

VPN(Virtual Private Network)

인터넷에 가상의 전용선 공간을 만들어 놓음으로써 거점 간을 안전하게 연결하기 위한 기술이다. 가상의 전용선 공간은 거점 간에 암호화된 통신 데이터를 주고받음으로써 실현된다. 종래에는 기업의 기사 간을 연결하는 광역 네트워크인 WAN을 구축하려면 고가의 전용선을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하지만 기존의 인터넷 회선을 사용함으로써 WAN을 저가로 도입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