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eb 8

[Spring] View 환경 설정

Welcome Page 만들기 스프링 부트가 제공하는 Welcome Page 기능 static/index.html 을 올려두면 Welcome page 기능을 제공한다. 정적 페이지를 띄워준다. Spring boot가 제공하는 기능 찾아보기 spring.io projects → Spring Boot → Learn → Reference Doc 참고 thymeleaf 템플릿 엔진 thymeleaf 공식 사이트: https://www.thymeleaf.org/ localhost:8080/hello로 접근 GetMapping annotation에 의해 hello 함수에 매칭된다. hello 함수 실행 model에 attribute를 추가해준다. hello를 return 해준다. @GetMapping("hello"..

Web/Spring 2022.09.17

How The Internet Works

Google.com? 🔁 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 🔁 DNS (Domain Name System) 📌 DNS (Domain Name System) '전화번호부' 특정 컴퓨터(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임의의 장치)의 주소를 찾기 위해,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된 식별 번호(IP 주소)로 변환해 준다. 📌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이다. IP 주소 → request to Google servers Google server response to client : send HTML, CSS, Javascript file Internet BackBon..

Web 2020.11.02

Form 요소

웹 페이지에서는 form 요소를 사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서버로 보낼 때에도 form 요소를 사용한다. form 요소는 다음과 같은 문법으로 사용한다. action 속성은 입력받은 데이터를 처리할 서버 상의 스크립트 파일의 주소를 명시한다. 전달받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스크립트 파일을 폼 핸들러(form-handler)라고 한다. method 속성은 입력받은 데이터를 서버에 전달할 방식을 명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form 요소를 통해 입력한 데이터는 action 속성에 명시된 위치로 method 속성의 방식을 통해 전달된다. method 속성 GET 방식 주소에 data를 추가하여 전달하는 방식 데이터가 주소 입력창에 그대로 나타나며, 보안성이 낮다. ..

Web 2020.07.29

웹의 동작 원리

①②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찾고 싶은 웹 페이지의 URL 주소를 입력함. ③ 사용자가 입력한 URL 주소 중에서 도메인 네임(domain name) 부분을 DNS 서버에서 검색함. ④ DNS 서버에서 해당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아 사용자가 입력한 URL 정보와 함께 전달함. ⑤⑥ 웹 페이지 URL 정보와 전달받은 IP 주소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함. 이렇게 생성된 HTTP 요청 메시지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거쳐 해당 IP 주소의 컴퓨터로 전송됨. ⑦ 이렇게 도착한 HTTP 요청 메시지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 URL 정보로 변환됨. ⑧ 웹 서버는 도착한 웹 페이지 URL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함. ⑨⑩ 검색..

Web 2020.07.28

[Web Basic #2] HTML 기초

HTML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를 오가는 파일이다. HTML ( Hyper Text Markup Language) Hyper Text는 Link를 뜻한다. 우리는 링크를 통해 인터넷 상에서 여러 사이트를 오간다. HTML의 구성 1. 글 우리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 2. 태그 멋쟁이 사자처럼 7기 시작 태그와 종료 태그로 작성되며 그 사이에 내용이 들어가는 구조이다. 3. 속성 태그안에 효과를 넣는다. 예를 들면 링크를 걸어주는 a 태그가 있다. 내 블로그로 가기

Web 2020.01.30

[web Basic #1] Web Service 소개

웹서비스(webservice)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구글,인스타그램,페이스북과 같은 서비스이다. 우리가 필요한 정보를 웹서비스들에게 요청(request)라고, 웹서비스들은 우리의 요청에 응답(response)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웹서비스에게 요청하는 사람을 클라이언트(client), 요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을 서버(server)라고 한다. 클라이언트가 주문하는 행위는 요청(request), 서버가 요청에 맞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응답(response)라고 한다. 요청 방식에 따라 get(가져다 줘), post(처리해줘)의 방식이 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인스타그램에서 '친구의 사진을 보여줘'라는 요청을 하는 경우가 get이고, '내 사진을 업로드해줘'라는 요청이 post라고 생각..

Web 2020.01.30
반응형